티스토리 뷰

식품

식품 표시제도(표시사항)

맹동군 2020. 3. 6. 16:46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품 관련 사항 중에서 표시사항에 관한 내용을 말해보고자 합니다.

 

식품 표시는 소비자에게 알권리를 보장하여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고

 

제조/판매자에게는 특별한 장점 등을 부곽시켜줄 수 있도록 해주는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식품 표시로 인한 기업의 이익은 비용에 비해 높지 않으나,

 

국민건강, 의료비 절감 등의 사회적 편익은 비용보다 높습니다.

 

 

 

가장 핵심은

 

소비자에게 필수 정보를 제공하고 특징을 표현한 마케팅이 가능하고

 

허위/과대 표시를 배제하여 공정한 거래 확립이 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주요한 요인인 것 같습니다.

 

 

이러한 식품 표시에 관한 규정은 3개 법령 및 7개 고시로 산재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출저: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표시인증과>

 

그러나, 지속적으로 허위과대광고 등 부당한 행위가 증가되고

 

이로 인한 소비자에게 피해가 직결되고 있습니다.

 

또한 제조업체에서는 잦은 고시의 개정과 품목별 규정 다양화로 영업자가 혼란스러움을 가중시키는 면이 

 

있기 때문에 통합법률을 제정하게 됩니다.

 

 

 

 

그 표시사항의 배경이 되는 주 법령을 알아보겠습니다.

 

"식품 등의 표시ㆍ광고에 관한 법률"

 

<출저: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표시인증과>
<출저: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표시인증과>

 

보기가 싫어집니다만,,,,

 

 

 

표시에 관련된 고시들이 통합된 것일뿐 그 표시대상의 범위가 바뀌지는 않았고

 

실질적 내용의 차이가 있다라기 보다는 통합법률을 통해서 좀 더 수월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됐습니다.

 

 


 

식품 표시 법률 배경과 제정근거를 알아보았습니다.

 

차후 각 표시사항별 주요 내용도 검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식품 등의 표시ㆍ광고에 관한 법률」 제 1조에 대해서 읊으면서 마무리하겠습니다.

 

 

"이 법은 식품 등에 대하여 올바른 표시ㆍ광고를 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건전한 거래질서를 확립함으로써 소비자 보호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댓글